마늘을 심을 시기가 다가오면 내가 텃밭을 하는 지역에서는 난지형이 어울릴까 아니면 한지형이 어울릴까 고민이 되실 것입니다.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난지형 및 한지형 마늘에 대하여 알아보고, 차이점을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한지형 마늘과 난지형 마늘 비교
1. 난지형 마늘
가. 주산지 : 남해안지역, 제주도 등
나. 마늘쪽수 : 10~16쪽
다. 심는 시기
- 심는 시기 : 9월 중순부터 10월 초순 식재
- 수확 시기 : 다음해 5월 중순 ~ 6월 중순 수확
라. 형태 비교
스페인산 마늘이라고도 하는데요. 키가 크면서 마늘 대의 굵기가 굵은 것이 특징입니다.
사진과 같이 마늘 알의 모양이 제각각 형태로 이루어진 마늘로서 한국에서는 장아찌를 많이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장아찌를 만들어 먹는 이유중 또 다른 하나는 쓴 맛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린맛이 강하면서 똑 쏘는 맛이 많아 한지형 마늘보다는 생으로 먹지 않는 편입니다. (구워서 먹는다고 해도 한지형마늘보다 맛이 좋지는 않습니다.
2. 한지형 마늘
가. 주산지 : 의성, 단양, 서산 등
나. 마늘쪽수 : 6~7쪽
다. 심는 시기
- 심는 시기 : 10월중순 ~ 11월초순 식재
- 수확시기 : 이듬해 6월중순 ~ 7월초순까지 수확
라. 형태 비교
보통 우리가 많이 부르는 6종 마늘이라고 하는 것이 한지형 마늘입니다. 난지형 마늘 보다는 굵기가 작은편이지만 사진과 같이 비교적 마늘의 알이 고르게 생긴 것이 특징이죠.
규칙적인 알의 크기로 다양한 요리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맛이 좋기로 유명하죠. 생으로 먹어도 알기지 않고 은은한 향이 퍼트려지기 때문에 어떠한 분은 과일계열의 향이 풍긴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난지형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이 한국 사람 입맛에는 더욱 어우리는 편이고, 활용도가 좋다고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그래서 난지형 마늘보다는 한지형 마늘이 가격이 조금 더 비싼 이유인 것 같기도 합니다.
3. 결론
텃밭에서 마늘을 키우는 저희의 경우, 심는 시기 및 수확 시기를 최우선으로 파악해서 원하는 마늘의 활용도에 따라 골라서 심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항암 효과과 혈액 순환 등 우리 몸에 아주 좋은 마늘이기 때문에 꼭 심으셨으면 좋겠고, 마늘은 시중에서도 비싼 가격으로 판매가 되고 있기 때문에 직접 마늘을 키우면 우리에게도 이득일 것입니다.
스스로 심어서 먹을 수 있는 안전함까지 함께이기에 텃밭에서 마늘 꼭 한번 키워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양파 구 크게 만들려면 3월에 해야 할 일은? 텃밭에 천일염을 활용하면 좋을까? |